"리콜 하지 않은 차량에서 더 많은 화재 발생, BMW차량 화재 더 늘어날 수 있다는 것"

신창현 "BMW 화재차량 31대 중 환경부 리콜 조치 이후 불 난 차량은 단 2대 뿐"<사진=신창현의원실>

[노동일보] 7일 더불어민주당 BMW 차량 화재가 환경부 배출가스 기준을 맞추기 위해 EGR(배기가스재순환장치)을 조작해 발생한 것이라는 추측이 나오면서 올해 화재가 발생한 31대(2018년 8월4일 목포에서 발생한 화재는 미포함) 중 환경부의 리콜 조치 이후 불이 난 차량은 단 2대에 불과했다.

이날 신창현 의원이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확인한 결과 올해 화재가 발생한 BMW 차량 31대 중 아직 그 원인이 확인되지 않은 차량은 총 25대다.

이 중 10대는 애당초 환경부 리콜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으며, 리콜 대상인 나머지 15대 중 2대만이 환경부의 리콜 조치 이후 화재가 발생했다.

이는 환경부 리콜 대상 차량 중 리콜을 하지 않은 차량에서 더 많은 화재가 발생했다는 것을 BMW차량의 화재는 더 늘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결국 BMW측이 질소산화물을 줄이기 위해 EGR 가동을 높인 것이 화재의 원인일 수 있다는 보도가 잇따르고 있으며 EGR 불법조작, 전기 배선, 연료계통 부품 결함 등 다양한 원인들에 대한 정밀조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반면 동일한 EGR을 장착한 국내 경유차량들은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다.

이날 신창현 의원은 "2년 전부터 화재가 발생했음에도 문제를 은폐하고 늑장조치한 BMW사도 문제지만, 국토부의 늑장대응도 문제"라고 질책했다.

신창현 의원은 또 "대기환경보전법의 부품결함보고제도를 자동차관리법에 도입하여 리콜 절차를 강화해야 한다"며 "이런 내용의 자동차관리법 개정안을 발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런 가운데 환경부 소관 대기환경보전법은 동일 제작년도, 동일 차종, 동일부품의 보증수리 실적이 50건 및 4% 이상일 경우 자동적으로 리콜조치를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국토부 소관 자동차관리법은 이러한 객관적 기준 없이 국토부 장관이 필요한 경우에 자동차 부품의 결함 여부를 조사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주먹구구식이라는 비판이 일고 있다.

저작권자 © 노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