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관절 골절 최초 발생자 중 17.4%, 1년 이내 사망<자료사진>

[노동일보] 21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용익)에 따르면 대한골대사학회(이사장 정호연)와의 공동연구로 2008년부터 2016년까지 지난 9년간의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50세 이상 한국인의 골다공증 골절 및 재골절 발생 현황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고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2008년부터 2016년까지의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골다공증 골절의 발생양상을 분석하였으며, 골다공증 골절은 ICD-10 질병코드 및 부위별 의사 행위 청구자료를 기준으로 정의했다.

50세 이상에서 인구 1만 명당 골다공증 골절 발생률은 2008년 148.0건에서 2011년 180.4건으로 증가한 이후 정체 양상을 보이다 2016년 152.9건으로 감소했다.

50세 이상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척추 골절은 인구 1만 명당 2008년 82.5건에서 2011년 99.4건으로 증가한 이후 다소 감소하여 2016년에는 88.4건으로 유지되는 양상을 보였다.

연령에 따른 발생 건수를 비교하면, 2016년 기준 50대 18.4건, 60대 61.0건, 70대 192.0건, 80대 364.8건, 90대 352.3건으로 고령으로 갈수록 급격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고관절 골절 발생은 50세 이상 인구 1만 명당 2008년 18.2건에서 2012년 20.5건까지 증가했으나 이후 감소추세로 이어져 2016년에는 17.3건까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여성의 고관절 발생이 매해 남성에 비해 2.1~2.3배 정도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의 경우 2008년 21.7건에서 2015년 25.6건까지 점차 증가한 후 2016년에는 23.5건으로 감소하였다.

2016년 기준, 인구 1만 명당 연령에 따른 고관절 골절 발생 건수를 비교하면, 50대 2.1건, 60대 6.2건, 70대 30.5건, 80대 108.0건, 90대 187.1건으로 고령으로 갈수록 급격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골다공증 골절의 관리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골절 발생 후 골다공증 치료약제 처방률을 분석하였다. 골다공증 치료약제로는 급여 처방되는 비스포스포네이트,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 부갑상선호르몬제를 포함하였다.

015년 골다공증 골절 발생 환자에서 골다공증 치료약제 처방률은 3개월 내 35.6%, 6개월에 39.1%, 1년에 41.9%로 기간에 따라 다소 증가하는 양상이었다. 

저작권자 © 노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