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산회복운동, 학술아카이브구축 통해 지속성, 발전성, 확장성 모색해야

[노동일보] 

‘고아 문화재’ 아직도 상당수 있어

일본인이 강탈해간 원주 지광국사탑이 돌아온 지, 100년이 지났다. 그로부터 1만여 점의 문화재가 귀국했지만 중요 문화유산의 상당수가 돌아오지 못하고 있다. 그럼에도 일부에서 환수보다 현지 활용이 중요하다며 환수 활동을 소탐대실이라고 폄하하기도 한다. 이런 주장의 뿌리는 일제의 논리와 맞닿아 있음을 종종 확인한다.

65년 한일문화재협상에서 일본정부의 입장은 정당한 수단으로 입수하였으므로 반환할 의무가 없지만 한국 국민이 불쌍하므로 기증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한국정부가 4,400여점을 반환하라 했지만, 1/3만 기증한다. 그리고 이것으로 끝이다, 라는 것이다.

정상적이고 다소 불법적이라도 보관을 잘하고 있으니, 이젠 현지에서 ‘홍보대사’역할을 잘 수행하면 다행이라는 것이다. 이들은 불법적 강점과 피해, 약탈 사실은 철저히 부정한다.

이에 대해 김경임 ‘약탈문화재의 세계사’의 저자는 홍보대사가 되려면 과거내력 발표와 취득과정의 적법성, 충분한 자격 등이 갖춰져야 국민의 대표가 되는 것이지, 출처와 내력도 알 수 없는 ‘고아문화재’ 보고 나라를 대신하여 홍보하라는 것이냐고 비판한다.

우리는 이런 사례를 잘 알고 있다, 일본 야스쿠니 신사 뒤뜰에서 온갖 학대를 당한 북관대첩비나 프랑스 도서관에서 중국책으로 취급당한 사실이 대표적이다.

이를 원상회복하는 일은 만세운동 100주년에 모색해야 할 의제이다.

        미래 세대들에게 좋은 일터와 보람과 긍지를 갖게 할 수 있을까? 모색 

이처럼 사회 일부에서 환수무용론과 현지활용론을 주장하는 속에서 과연 지속가능하고 확대발전하며 다른 분야와의 협력을 통해 사회의 한 분야로 ‘문화유산회복운동’이 자리 잡을 수 있을까“ 모색하는 토론이 3월 27일 국회에서 열렸다.

조의연 동국대교수는 ”디지털 인문학과 문화유산회복 아카이브 구축“을 주제로 발표하면서 현재 정부가 운영하는 사이트의 대부분은 참여용이 아닌 홍보용으로 ‘누구를 위한 문화유산회복인가?” 물음을 던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Europeanan collection이나 CyArk 사이트는 유산의 역사성과 시대성, 협력성 등을 갖추고 있다고 비교 분석하였다. 문화재반환운동이 휘발성 이슈가 아닌 전문적이고 체계적이고 조직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학술적 기반을 통한 논리와 이념의 형성은 대단히 중요한 과제이며 이를 위해 아카이브구축은 시급하다고 역설하였다.

저작권자 © 노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