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대 박물관, 6.25 전쟁 당시 재학생들의 모습 담은 사진 발굴 공개<사진=건국대학교>

[노동일보] 건국대학교 박물관은 23일 1951년 6.25 전쟁 당시 피난지 부산 서대신동 구덕산 자락에 자리잡은 판자로 된 임시 가교사와 당시 재학생들의 모습을 담은 사진을 발굴, 공개했다.

6.25 전쟁 당시 각 대학들은 재정면이나 운영면에서 독립된 경영을 할 수 없어 부산에서 정부 지원으로 이른바 전시연합대학으로 운영됐으나 건국대는 이 전시연합대학에 참여하지 않고 독자적인 단독 교사를 마련해 문을 열고 수업을 한 유일한 대학이었다.

1951년 9월 당시 정치외교학과와 경제학과 2개 학과에 입학생이 18명, 재학생이 172명이었다.

올해 학원창립 85주년·개교 70주년을 맞은 건국대학교(총장 송희영)는 6.25 전란 중에도 피난지인 부산에서 독립된 대학으로 문을 열고 수업을 진행했다.

1946년 조선정치학관으로 개교, 1949년 정치대학으로 이름을 바꾼 건국대는 6.25 전란 중인 1951년 피난지 부산 서대신동에 임시 가교사를 마련하고 학교의 문을 열었다.

당시 각 대학들은 재정면이나 운영면에서 독립된 경영을 할 수 없었던 형편이어서 부산에서 서울대를 중심으로 이른바 전시연합대학을 구성했는데 건국대는 이 전시연합대학에 참여하지 않고 독자적인 단독 교사를 마련하고 강의를 시작한 유일한 대학이었다.

문교부 기록에 따르면 1951년 당시 전시연합대학 등록학생은 총 6,455명, 부산에서 처음 강의를 시작할 당시 건국대 입학생은 18명, 재학생은 172명이었다.

당시 전시연합대학은 합동 강의형식을 진행했으며 각 대학의 학생들은 원적의 학교 소속은 유지한 채, 국가에서 비용을 지원하는 서울대를 중심으로 모여 합동으로 강의를 받고 있었다.

따라서 각 단과대학에 각기 다른 대학의 학생들이 모여 혼합반을 이루었다. 그러나 건국대 설립자 상허 유석창 박사는 단독강의의 결의를 굳게 하며 1951년 9월 부산 서대신동에 정치대학의 간판 아래 임시 교사를 마련하고, 피난 온 학생들을 소집해 다시 수업을 시작했다.

피난지에서 독자적 운영을 한 대학으로는 유일했다. 부산까지 온전히 갖고 온 학적부와 피난상황의 악조건을 오히려 발전의 발판으로 삼고자 했던 설립자의 의지가 담겨있었다.

저작권자 © 노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