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노무현 대통령이 열린우리당 새 지도부들과의 만찬에서 탈당 의사를 밝힐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노 대통령이 탈당으로 사실상 여당이 없어지게 된다. 이에 정치권의 정계개편이 전체적으로 번져 정치권이 한치 앞을 보기 힘들 전망이다. 특히 현재 '당정협조업무운영에 관한 국무총리 훈령'에는'여당'의 개념을 대통령이 당적을 가진 정당으로 규정하고 있어 대통령이 당적이 없다면 여당 자체가 없어져 버린다. 이에 당정 협의도 없어지게 되며 여당과 고위 및 실무협의 등을 통해 각종 법률안과 주요현안 등에 대해 긴밀한 협조도 못하게 된다. 하지만 열린우리당은 노 대통령이 탈당하더라도 국정운영을 뒷받침한다는 입장이지만, 대통령이 탈당할 경우엔 법적인 의미에서의 여당 지위는 잃게 된다. 노무현 대통령의 당적정리가 초읽기에 들어감에 따라 정치인 각료를 대상으로 한 개각 범위가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여권의 잠재적 대선주자로 꼽히는 한명숙 총리와 유시민 복지부 장관의 거취가 주목된다. 노 대통령이 탈달을 하며 당적을 던질 경우 정치인 각료 교체가 바로 이어질 전망이다. 노 대통령의 당적정리가 남은 임기 1년간 자신에게 유리한 국정운영을 위한 측면이 강한 만큼 중립내각 구성이 불거피할 전망이다. 그런 만큼 한명숙 총리의 당 복귀는 거의 확실하다. 그동안 본인 거취와 관련 말을 아껴온 한 총리가 21일 노 대통령을 찾아가 총리 사퇴의사를 밝혀 조기 복귀 쪽으로 마음을 사실상 굳힌 것으로 전해쟀다. 당 복귀 후에는 대선행보 채비를 갖출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후임 총리 후보군으로는 김우식 부총리 겸 과학기술부 장관, 이규성 전 재경부 장관, 전윤철 감사원장, 한덕수 전 경제부총리 등이 거론되고 있다. 반면 유시민 장관 경우 당 복귀가 아닌 내각 잔류 쪽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21일 한 토론회에 참석한 유 장관은 거취와 관련 “저는 복지부장관이고 저의 입장에는 변한 게 없다”며 “나머지는 다 인사권자의 명에 따르는 것이고 저는 의견이 없다”고 말했다. 이는 유 징관도 열린우리당을 탈당할 가능성이 있다는 반증이다. 유 장관이 내각에 남기 위해서는 노 대통령과 함께 당적정리를 해야 한다. 공교롭게도 유 장관은 현재 당내 주류인 통합신당그룹으로부터 집중포화를 받고 있다. 유 장관의 “한나라당 집권가능성 99%” 발언에 통합신당그룹은 “해당 행위”라며 강하게 비난하는 한편, 일각에서는 출당 징계를 요구하고 있기도 하다. 만약 유 장관이 탈당을 하면 열린우리당의 개혁당파들도 대거 탈당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 장관이 당으로 복귀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이유는 당 사수파들의 최대약점인 인물론을 유 장관이 메워줄 수 있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노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