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일보] 환경부 화학물질안전원(원장 김균)이 전국의 3,524개 사업장을 대상으로 2014년도 화학물질 배출량을 조사한 결과, 2013년도 대비 6.9% 증가한 211종, 5만 4,261톤의 화학물질이 대기 등의 환경으로 배출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조사에서 전국의 3,524개 사업장은 2014년에 총 226종 1억 6,361만 8,000톤의 화학물질을 취급했으며, 이 가운데 211종 5만 4,261톤(전체 취급량의 0.0332%)이 대기 등 환경으로 배출됐다.

이는 2013년도 배출량 5만 767톤에 비해 6.9%인 3,494톤이 증가한 것이다.

화학물질안전원은 화학, 석유정제, 1차 금속 등의 업종에서 화학물질 전체 취급량이 2013년 1억 6,115만 7,000톤에서 2014년에 1억 6,361만 8,000톤으로 1.5% 증가했고, 보고 업체수도 3,435개에서 89개가 추가돼 화학물질 배출량도 함께 늘어난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화학물질의 배출관리 정보가 비교적 명확한 점오염원(굴뚝 등 환경오염 방지시설 등)과 달리 사업장의 자율적인 관리에 의존하는 비산오염원(이송배관 등)의 배출이 증가한 것도 원인으로 작용했다.

이번 조사에서 비산오염원의 화학물질 배출량은 전체 배출량의 61%인 3만 3,107톤를 차지하고 있으며, 2010년 이후 지속적으로 60% 수준을 상회하고 있다.

주요 비산오염원 화학물질 배출시설인 이송배관, 출하시설 등은 사업장에 널리 산재되어 있다. 또한, 시설 숫자가 많아 주기적인 측정, 누출감시, 보수 등 화학물질 저감노력 활동이 점오염원 배출시설보다 인력, 장비, 기술기반 부족 등의 이유로 어려운 실정이다.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석유정제, 화학 등 주요 업종의 비산오염원 배출량은 3년 전에 비해 9.8% 증가한 2만 1,353톤을 기록(2012년 1만 9,446톤 → 2013년 1만 9,700톤 → 2014년 2만 1,353톤)했다.

화학물질 별로 화학물질 배출량을 살펴보면, 용매제 또는 희석제로 주로 사용하는 자일렌(32.5%), 톨루엔(15.7%), 아세트산에틸(7.8%), 메틸에틸케톤(6.3%), 에틸벤젠(5.2%) 등 10개 화학물질이 전체 배출량의 85.0%를 차지했다.

자일렌, 톨루엔, 아세트산에틸의 경우 각각 1만 6,397톤→1만 7,661톤, 7,070톤→8,538톤, 3,669톤→4,222톤으로 배출량이 2013년 대비 12.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배출비율이 높은 업종인 기타 운송장비, 자동차 제조업 등에서 취급량이 2013년 67만 8,994톤에서 2014년 78만 7,634톤으로 2013년 대비 16% 증가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벤젠 등 1급 발암물질 12종의 경우, 전체 배출량의 2.1%에 해당하는 1,064톤을 배출됐으며, 2013년 942톤에서 2014년 1,064톤으로 12.9% 증가했다.

업종 별로 화학물질 배출량을 살펴보면,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33.8%), 고무·플라스틱 제조업(13.1%),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10.3%) 등 5개 업종에서 전체 배출량의 70.7%인 3만 8,364톤이 배출되었다.

반면, 화학업종과 코크스·석유정제업 등의 배출량은 각각 전체 배출량의 8.5%와 1.4%를 각각 차지하지만, 배출율은 평균 0.0332%보다 낮은 0.004%와 0.003%로 나타났다. 지역별 배출량은 2013년도와 같이 경기(1만 1,734톤, 21.6%), 경남(8,813톤, 16.2%), 울산(8,556톤, 15.8%) 순으로 나타났으며, 상위 5곳의 지역에서 전체 배출량의 68.8%인 3만 4,940톤이 배출됐다.

경기는 사업장 수가 889개로 조사 대상 전체 사업장의 25.2%를 차지해 상대적으로 화학물질이 다량 배출되었고, 경남은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울산은 대규모 산업단지에서 다량 배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노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